반응형
파이썬 주요 데이터 타입은 정수, 실수, 문자열로 이루어져있다.
type() 함수
어떤 값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 싶으면 type()내장 함수를 사용하면된다.
ex)
print()함수
어떤 값을 출력하고 싶다면 print()함수를 사용하면된다.
함수에서 여러 값을 출력하고 싶으면 각 값 사이에 쉼표(,)를 사용한다.
문자열에서 '\n'은 줄바꿈을 의미한다.
변수
- 변수는 값에 대한 이름표이다.
- 어떤 값이 자주 사용되면 그 값에 이름을 붙여둔다.(자주 사용하는 만큼 이름을 붙여놓으면 나중에 사용하기 쉬움.)
- 이름을 통해 값에 접근할 수 있다.
- = 이 있다면 오른쪽 부터 해석한다.
변수 이름 규칙
-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 할 수 없다. (ex.1a = 25(x))
- 보통 영문 소문자를 많이 사용한다.(대문자도 사용가능)
- 한글이 사용가능하다.
- 언더 스코어(_)를 사용할 수 있다.(맨앞에 사용은 불가능)
바인딩이란?
- 어떤 변수에 대한 값을 입력하면 그것을 바인딩이라 부른다.
- 값이 메모리에 할당된 주소를 기억한다.
변수는 왜 사용하는가?
- 계산이 복잡할 때는 나눠서 계산하면 쉽기때문.
값이 메모리에 할당된 주소를 기억한다?
각 값은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이때 메모리의 남는 공간에 저장이 되는데 이것을 할당된 주소라고 한다.
반응형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공부 5) 파이썬 자료구조(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이차원 데이터 (0) | 2023.07.07 |
---|---|
파이썬 공부 4) 연습문제 21~50 (0) | 2023.07.05 |
파이썬 공부 3) 연습문제 1~20 (0) | 2023.07.04 |
파이썬 공부 2)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23.07.04 |
파이썬 공부 시작! (0) | 2023.07.04 |
댓글